학습노트1 - 개발환경 셋팅

언어와 프레임워크로 웹개발

책이 2019년 하반기에 출판, 집필은 2018년으로 생각 되는데 서문에 대학생들에 물어보았을때
많이 쓰이는 조합이 4가지라고 들었다고 한다.

  1. PHP
  2. NodeJS 와 Express 프레임워크
  3. Python 과 Django 프레임워크
  4. Ruby와 Rails 프레임워크

자바와 스프링 프레임워크은 없었고 이유가 어렵고, 복잡하고 거추장 스럽다는 것이었다. 이는 최근에는 스프링 부트가 나와서 해소 되었으리라 보인다.

국내 선망의 IT 회사 (네이버, 카카오, 라인 등), 티몬, 쿠팡, 우아한 형제들등 스타트업, 서비스가 커지자 자바와 스프링 기반으로 전환을 많이 한다고 한다.

책 구성

  1. 1~5장: 스프링 부트, JPA, 스프링 시큐리티, JUnit,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2. 6~7장: AWS 인프라, 기본 사용법 및 설정 (EC2, RDS)
  3. 8~10장: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AWS 인프라에 배포, 무중단 배포 환경

GitHub: http://bit.ly/fr-springboot

Spring Boot가 2.1 -> 2.4로, IntelliJ IDEA가 2019 -> 2020 의 변경 내역 정리글
https://jojoldu.tistory.com/539
Issues: https://github.com/jojoldu/freelec-springboot2-webservice/issues

만들게 되는 웹 애플리케이션

게시판 기능

  1. 게시글 조회
  2. 게시글 등록
  3. 게시글 수정
  4. 게시글 삭제

회원 기능

  1. 구글/네이버 로그인
  2. 로그인한 사용자 글 작성 권한
  3. 본인 작성 글에 대한 권한 관리

개발 환경

인텔리J 추천 하며 다만 HTML, CSS은 VS Code

Github 연결

인텔리J Ctrl+Shift+A 하면 Actions 검색창 열리고 share project on github을 검색
깃허브 연결

플러그인 설치 .ignore

Actions 검색창 > plugins > .ignore 찾아 설치
Alt+Insert > .ignore 파일 생성 > .idea 와 .gradle 체크

프로젝트 빌드를 Intellj 로 설정

Gradle 로 되어 있는데 바꾸어 주면 더 빨리짐

Github 에 커밋 하기

Ctrl+Shift+k